종이 상식

인쇄용 데이터 제작 가이드

2020.05.07


RGB와 CMYK

빛을 이용하여 컬러를 표현할 때 빛의 삼원 색인 적(Red), 녹(Green), 청(Blue)으로 표현합니다.

빛이기 때문에 농도가 높아질수록 밝아집니다. 빛으로 이미지를 표시하는 모니터와 텔레비전이 대표적인 매체입니다.

인쇄에서 컬러는 네 가지 색 즉 파랑(Cyan), 자주(Magenta), 노랑(Yellow), 검정(Key=Black) 을 조합으로 구현합니다.

네 가지 색을 모두 100% 섞어 인쇄하면 아주 진한 검정색이 됩니다.


래스터 이미지 (Raster Image)

컴퓨터가 이미지를 표현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색상 정보를 가진 점(픽셀)들의 집합으로 표현하는 이미지를 래스터 이미지라고 합니다. 점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해상도를 가지고 있고 인쇄할 때 해상도에 따라 인쇄 품질의 영향을 받습니다.

사진이나 그림을 저장할 때 JPG, PNG, PSD, PDF 등 다양한 형식이 있다.


벡터 이미지 (Vector Image)

일러스트레이터 등으로 그린 이미지들은 좌표와 수식, 색 정보 등을 가지고 이미지를 표현합니다.

따라서 확대나 축소할 때 그에 맞는 위치를 계산하여 설정하게 되기에 이미지 품질(선명도)이 변화되지 않고 저해상도 래스터 이미지에서 나타나는 계단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최상의 품질로 인쇄됩니다.

폰트 또한 아웃라인 처리만 하면 벡터 이미지로 바뀝니다.

PDF, AI, CDR, EPS 등 다양한 형식 파일이 있습니다.


모니터 색상과 인쇄 색상

모니터는 빛으로 색을 표현하기 때문에 눈으로 인식하는 컬러는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 등 디자인 프로그램에서 CMYK로 작업을 하면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하지만 실제 인쇄된 색상과는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특히 채도가 높은 컬러는 CMYK 분판 인쇄를 거치면 화면보다 채도가 많이 떨어지게 됩니다.

같은 회사의 같은 모델 모티터로 동일 이미지를 보아도 모두 색감이 다릅니다.

인쇄도 같은 기종이라 할지라도 인쇄 환경에 따라 인쇄 후 모두 색감이 다릅니다.


별색(Spot Color)과 프로세스 컬러(Process Color)

프로세스 컬러는 C(사이언)M(마젠타)Y(황색)K(검정)로 색을 처리하는 방법의 하나로 인쇄 시 CMY 3색으로 대부분의 색을 배합할 수 있지만 3가지 색으로는 완전한 검정을 나타낼 수 없기에 K(검정)를 더합니다. 인쇄 할때 입력한 CMYK 값 그대로 인쇄됩니다.

별색(Spot Color)은 최종 인쇄할 때 CMYK 네 가지 색의 조합으로 인쇄하지 않고 별도의 색상판을 분리하여 원하는 색의 잉크로 인쇄합니다.


해상도

해상도는 이미지를 구성하는 점의 밀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보통 DPI(Dot Per Inch)를 사용하며 1인치의 이미지를 몇 개의 점으로 표현했느냐를 나타냅니다.

보통 인쇄 적합한 해상도는 300DPI 이상입니다.

문제는 낮은 해상도를 가진 이미지를 인쇄했을 때입니다. 낮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사용해 인쇄하면 다음 두 가지 문제가 발생합니다.

1. 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디지털 이미지(보통 . JPG 확장자를 가진 파일)는 해상도가 낮을 경우 그 이미지를 이루고 있는 네모난 점이 도드라져 보이는 현상이 나타납니다.(계단현상). 보통 모니터는 72DPI 해상도로도 이미지 구현에 문제가 없습니다.

2. 선명하지 않게 인쇄되는 현상

간혹 72DPI 이미지를 포토샵 같은 툴을 사용해 강제로 300DIP 이상으로 변환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렇게 변환하여 인쇄할 경우 계단현상이 나타나거나 뿌옇게 인쇄됩니다.